AI 저작권

플랫폼별 AI 콘텐츠 저작권 가이드라인 정리

jbidea 2025. 7. 29. 07:13

 

유튜브, 인스타그램, 아마존, 티스토리까지 어디까지 허용될까?

 

AI가 만든 글, 이미지, 영상이 유튜브, 인스타그램, 블로그, 전자책 플랫폼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ChatGPT로 쓴 블로그 글, Midjourney로 만든 썸네일, Suno로 제작한 음악까지 콘텐츠 대부분이 AI 기반으로 바뀌고 있다. 문제는 각 플랫폼마다 AI 콘텐츠의 허용 범위와 저작권 책임이 다르다는 점이다.

 

실제 수익이 걸린 플랫폼(유튜브, 인스타, 티스토리, 아마존 등) 별로 AI 콘텐츠에 대한 가이드라인, 금지 규정, AI 고지 의무, 저작권 주의사항을 총정리해봤다.

 

플랫폼별 AI 콘텐츠 저작권

왜 플랫폼별 AI 콘텐츠 기준이 중요한가?

AI 콘텐츠는 생성은 쉽지만, 유통과 수익화는 복잡한 문제를 안고 있다.
특히 플랫폼별로 다음과 같은 차이가 존재한다.

항목 설명
콘텐츠 생성 주체 사람이 아닌 AI일 경우, 저작권이 불분명
AI 고지 의무 플랫폼에 따라 ‘AI로 만든 콘텐츠’라는 표시를 요구함
수익화 제한 여부 일부 플랫폼은 AI 콘텐츠에 수익화를 제한하거나 거절
이용약관 위반 시 콘텐츠 삭제, 계정 정지, 수익 회수 등 강력한 제재 가능

 

따라서 콘텐츠 제작자는 반드시 각 플랫폼의 최신 가이드라인을 확인하고,
AI 콘텐츠를 올릴 때 주의사항을 숙지해야 한다.

 

유튜브(YouTube) – AI 콘텐츠 고지 의무 강화 (2024~)

유튜브는 2024년부터 AI 생성 콘텐츠에 대해 명확한 고지 의무 정책을 도입했다.

▶ 주요 내용

항목 설명
AI 콘텐츠 표시 의무 AI로 만든 영상(딥페이크, 이미지 합성 등)은 반드시 ‘AI 생성됨’ 표시해야 함
사람처럼 보이는 합성 영상 AI 음성, 얼굴, 행동 등이 포함되면 고지 대상
고지하지 않을 경우 콘텐츠 삭제, 노출 제한, 수익 회수 가능
수익화 가능 여부 AI 콘텐츠도 수익화 가능, 단 저작권 침해 없고 가이드라인 위반 없을 시
특히 딥페이크, 유명인 목소리·얼굴 모사 콘텐츠는 고지 없이 업로드할 경우 플랫폼 차단 대상이 될 수 있다.

 

인스타그램 & 페이스북 – AI 콘텐츠 표기 자동화 도입

메타(Meta)는 2024년 중반부터 인스타그램·페이스북 게시물에
AI 이미지·영상이 감지되면 ‘AI generated’ 태그를 자동 삽입하는 정책을 발표했다.

▶ 주요 기준

항목 설명
AI 감지 기술 도입 메타 자체 모델로 이미지 메타데이터 분석
사용자 수동 표기도 가능 AI 콘텐츠일 경우 ‘AI 콘텐츠임’을 자율적으로 표시 가능
허위 콘텐츠 유포 시 계정 경고 또는 비노출 처리
브랜드 협업 콘텐츠의 경우 AI 이미지 사용 시 반드시 표시 + 사전 승낙 필요
예: Midjourney로 만든 의류 모델 이미지로 광고 게시물 제작 시, 브랜드 허위 연결되면 인플루언서 계정 제재 가능

 

티스토리 & 블로그 플랫폼 – 애드센스 승인과 AI 콘텐츠의 관계

티스토리, 브런치, 워드프레스 등 블로그 플랫폼은 자체적으로 AI 콘텐츠 금지 조항은 없지만,
구글 애드센스 승인을 위해선 반드시 AI 사용 여부와 콘텐츠 품질을 고려해야 한다.

▶ 주의 사항

항목 설명
AI 콘텐츠 자체는 허용 ChatGPT로 쓴 글도 게시 가능
애드센스 승인 기준 독창성, 정보성, 주제 명확성 기준 충족해야
AI 감지율 높을 경우 승인 거절 사유가 될 수 있음
표절/중복 글 인터넷에 이미 있는 내용만 재구성한 경우 승인 거의 불가
실제로 “AI로 생성한 블로그 콘텐츠는 승인 어렵다”는 경험담이 많지만, 이는 ‘AI 사용’ 때문이 아니라 ‘저품질·중복 콘텐츠’ 때문임을 알아야 한다.

 

아마존 KDP (전자책 출판) – AI 콘텐츠 고지 의무화

전자책 자가 출판 플랫폼인 아마존 KDP는
2023년 9월부터 AI 콘텐츠 관련 규정을 강화했다.

▶ 주요 내용

항목 설명
AI 작성 여부 신고 의무 ChatGPT로 작성한 책 내용은 반드시 신고해야 함
표지 이미지 AI 생성 시 Midjourney, DALL·E 등 사용한 경우에도 신고
신고하지 않으면 계정 경고 또는 출판물 삭제 가능
AI 번역, 편집 사용도 포함 번역 결과물도 AI 생성이면 체크해야 함
단, AI 사용 여부가 책 등록의 합법/불법을 결정하는 것은 아님. 정직하게 고지하면 문제 되지 않음.

 

Notion, Canva, ChatGPT 등 AI 도구 플랫폼의 정책

AI를 콘텐츠 제작 도구로 활용할 때는 해당 도구 자체의 라이선스도 중요하다.
일부는 결과물을 상업적으로 자유롭게 쓸 수 있고, 일부는 유료 요금제 사용자에게만 사용권을 준다.

도구 AI 콘텐츠 상업적 사용 가능 여부
ChatGPT (Plus) 가능 (단, OpenAI 콘텐츠 정책 준수)
Canva AI 가능 (단, 이미지 재사용 제한 있음)
Notion AI 가능 (단, 저작권은 사용자에게 귀속되지 않음)
DALL·E 가능 (유료 플랜 사용 시)
DALL·E 가능 (유료 계정만 가능, 이미지 공개됨)
콘텐츠 업로드 전에는 AI 툴의 상업적 사용 라이선스 조건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플랫폼별 AI 콘텐츠 활용 핵심 가이드 요약

플랫폼 AI 콘텐츠 사용 가능? 고지 의무 수익화 가능 여부
유튜브 가능 있음 (딥페이크, 모사 등) 조건부 가능
인스타그램 가능 있음 (자동+수동) 가능 (광고성 주의)
티스토리/블로그 가능 없음, 품질 기준만 적용 가능 (애드센스 승인 주의)
아마존 KDP 가능 있음 (의무 신고) 가능 (허위 고지 시 제재)
AI 툴 (ChatGPT 등) 가능 자체 정책에 따름 가능 (툴별 사용권 확인 필수)

결론 : AI 콘텐츠는 ‘허용’되지만, ‘책임’도 따라야 한다.

AI로 만든 콘텐츠는 대부분의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플랫폼은 사용자에게 다음 두 가지를 요구한다:

  1. AI로 만들었다는 사실을 숨기지 말 것
  2. 저작권, 초상권, 거짓 정보에 주의할 것

AI 콘텐츠를 수익화하거나 공개할 때,
단순한 업로드가 아닌 책임 있는 고지와 콘텐츠 관리가 필요하다.

“AI로 만들었으니 나는 몰랐다”는 변명은 더 이상 플랫폼에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